백년도 안되는 짧은 인생, 그 가운데 얼마만큼의 줄거움이 있으랴!

그러나 굳이 시인의 통찰력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 선조들은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때를 가릴 줄 알았고, 고달픈 가운데서도 스스로 즐길 줄 알았다.

 

한국의 절기주

정초에 한해의 각오를 다짐하는 자리에서부터, 모내기를 마친 후 일터에서, 그리고 추수 이후의 한가위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절기마다 그때에 어울리는 술을 빚고 인생의 즐거움을 찾을 줄 알았던 현명하고 여유를 아는 백성이었던 것이다.

정월 액막이 술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새해가 시작되는 첫날을 휴일로 삼고 있다.

물론 새해를 어떻게 살아갈까를 차분하게 구상하라는 뜻이 담겨 있는 것이겠지만, 아마도 그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데서 비롯된 풍습일 것이다.

  

   

정월 음복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세시 풍속은 새해 아침에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낸 다음 가족들이 한자리에 둘러앉아 세찬(정초에 대접하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음식을 먹기 전에 제상에 올렸던 술이나 물을 마시는데 이것을 음복(飮福)이라 한다.

음복의 풍습은 조상님들이 드신 음료를 마시면 귀신을 쫓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각종 질병이 사악한 귀신의 조화 때문에 비롯된다고 믿었던 시절의 풍습이다.

이처럼 액운을 박기 위하여 마시는 술을 액막이 술이라 한다.

  

  

도소주

청주에 귤껍질, 계피, 산초, 도라지 등의 분말을 넣어서 우려 낸 <도소주>

정초의 액막이 술로는 후추와 측백나무 잎사귀를 맑은 술에 넣어 우려낸 초백주(椒柏酒)가 있다. 또 하나 액막이 술로 널리 알려진 것이 도소주(屠蘇酒)인데 이것은 삼국지에 나오는 명의 화타가 만든 술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술은 청주에 귤껍질, 계피, 산초, 도라지 등의 분말을 넣어서 우려 낸 것으로, 정월 초하루에 이 술을 마시면 일년 동안 삿(잡)된 기운을 없애 준다고 믿었다.

도소주를 마시는 절차에는 특이한 점이 있다. 온 집안 식구가 한자리에 모여 나이 어린 사람부터 윗사람에게로 차례로 절을 한 다음 도소주를 마셔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음주 문화를 통하여 어릴 때부터 술 마시는 예법을 자연스럽게 몸에 익힐 수 있었을 것이다.

어른들 앞에서 술을 배우며 경망스럽게 행동하지 않는 예법을 익혔을 것이니, 함부로 술에 취해 주정을 하는 일은 생각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오늘날에야 술이 흘러 넘칠 정도로 흔하지만, 1960년대만 해도 술은 귀한 음료의 하나였다.

집집마다 정성스레 담근 술을 함께 마시며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고, 자녀들에게 주도를 가르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생각만 해도 흐뭇한 광경이 아닌가 말이다.

  

  

농주
한국의 술 - 농주

출처 : 한겨레 사이언스

모내기, 김매기, 보리베기, 벼베기, 그리고 타작과 같은 힘든 농사일은 걸죽한 농주를 빼고는 생각할 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막걸리이런 일들은 대개 동네 단위의 두레에서 이웃들이 품앗이로 하기 마련이었다.

힘든 일을 하다가 배가 고파지면 허기도 채울 겸, 이웃 간에 협동심도 다질 겸해서 주인집에서 담근 농주 한두 사발을 들이키곤 했던 것이다.

이때 마시는 술은 물론 막걸리였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농사철을 앞두고는 집집마다 술을 담그는 것이 농사 준비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거리였다.

  

누구나 자기 집일을 할 때는 술을 내야 하기 때문에 농사일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각 가정의 술 빚는 솜씨를 뽐낼 수 있었다.

단오절 창포주

단오절 창포주

음력 3~4월에 시작되는 보릿고개가 막바지에 이를 즈음에 다가오는 단오(음력 5월 5일)는 또 하나의 전통적인 명절이다.

   

사람의 양식이야 어떻게 되었든 산야는 녹음으로 생기가 만발할 때이니 어찌 즐기지 않을 수 있으랴.

신윤복-단오고려 시대부터 단오가 되면 청년들은 공차기 등을 하고 아가씨들은 그네를 뛰었다고 한다.

이날 부인네들은 창포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남정네들은 창포술을 마셨다.

   

이몽룡이 단옷날 남원 광한루에서 그네를 뛰는 춘향의 자태에 혹한 것이 혹시 창포주의 취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이리 오너라. 같이 놀자.”

춘향가의 한 구절이 절로 떠오른다.

 
한가위 동동주

팔월 대보름은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는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이다.

  

대다수의 나라에서 가을철에 추수감사제를 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선조들도 한가위에는 햇곡식으로 술과 송편을 빚어 조상과 하늘에 감사의 제를 지냈다.

이때가 연중 가장 음식이 풍성할 때이므로 가난한 사람이라도 음식과 술을 배불리 먹고 마실 수 있었다. 한가위에는 주로 찹쌀을 가지고 동동주를 빚었다.

   

이 밖에도 선비들이나 풍류객들은 봄에는 청명주(음력 3월), 여름에는 유두주(음력 6월 15일), 가을 중양절(음력 9월 9일)에는 국화주를 즐겼다.

Leave A Comment